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김예원

    김예원 프로필

  • 국적 대한민국
  • 출생 1982년
  • 학력 강원대학교 법과대학
  • 경력 장애인권법센터 대표 겸 변호사
    서울시 장애인인권센터 상임변호사
    2012년 재단법인 동천 공익변호사
  • 수상 대한변호사협회 우수변호사상
    제1회 청년공익변호사 대상
    제1회 곽정숙 인권상
    2018년 한국여성변호사회 공로상
    2017년 대한변호사협회 청년변호사상
    2015년 한국여성변호사회 공로상

2019.08.22.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저 : 김예원
중학교 때, 왜 오른쪽 눈이 없는지 그 이유를 알게 되었다. 태어날 때 의료 사고로 눈을 잃은 지 십여 년, 법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 세상에는 이렇게 억울한 사람이 많을 것이라는 생각에 ‘법은 따뜻한 세상을 만드는 좋은 도구’라는 믿음으로 법조인을 꿈꾸었다. 큰 목소리로 지나치게 명랑한 학창 시절을 보내면서도 정작 인권에 대해서는 무지했다. 법은 소외된 자에게 더 따뜻해야 한다고 생각했지만, 어떻게 해야 소외된 사람과 함께 걷는 것인지도 잘 몰랐다. 그래서 사법연수원을 수료하고 그 길을 배워 보려고 공익 활동을 전담하는 변호사로 첫 발을 떼었다.
대중교통을 타고 걸어 다니기를 좋아한다. 좋은 사람, 좋은 공동체와 좋은 상호작용을 하며 살아가는 것이 행복의 지름길이라 믿으며 장애인, 여성, 아동 인권침해 사건을 법률 지원하고 있다. 주로 형사사건 피해자를 지원하는데, 피해자가 스스로 힘과 용기를 내는 것을 볼 때 가장 큰 보람을 느낀다.
사법연수원을 수료하며 자타공인 ‘훈남’인 강지성과 결혼하여 세 명의 아이를 낳아 기르고 있으며, 급한 성격과 큰 목소리로 주변 사람들로부터 “너와 적으로 만나지 않아서 참 다행”이라는, 칭찬인지 욕인지 헷갈리는 말을 자주 듣는다. 약자가 약자와 연대하며 살아가는 세상을 꿈꾸며 법률가이자 활동가로서 오래오래 활동하기를 소망한다.
1982년 춘천에서 3녀 중 장녀로 태어나 강원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했다. 2009년 사법시험에 합격하였고, 2012년 법무법인 태평양 「재단법인 동천」의 공익변호사로 활동을 시작하였다. 로펌 회의실이 아닌 사건 초기 현장에 달려가고자 「서울시 장애인인권센터」에서 상임변호사로 일했으며, 현재 「장애인권법센터」(비영리 법률사무소)의 대표·변호사로 열심히 활동하고 있다.
법으로만 사건을 이해하지 않으려고 ‘사회복지사’와 ‘성폭력전문상담원’ 자격을 취득하였고, 2015년 한국여성변호사회 공로상(장애인권), 2016년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 2017년 대한변호사협회 청년변호사상, 2018년 한국여성변호사회 공로상(아동인권), 제1회 곽정숙 인권상, 서울시 복지대상, 「법조공익모임 나우」 제1회 청년공익변호사 대상, 대한변호사협회 우수변호사상을 수상하였다.

<누구나 꽃이 피었습니다> 저자 소개

김예원 작품 총 3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